반응형
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이상 신호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오늘은 누구나 기본적으로 받아야 할 건강검진 항목과, 연령이나 상황에 따라 추가로 고려하면 좋은 검진 항목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.
▣ 연령대별 추가 검진 권장 시작 시기
검진 항목 | 권장 시작 연령 | 비고 |
심전도 / 심장초음파 | 40세 이상 | 고혈압, 흉통, 가족력 있는 경우 더 이른 검사 권장 |
경동맥 초음파 | 50세 이상 | 고지혈증, 당뇨, 뇌졸중 가족력 있는 경우 필요 |
복부초음파 | 30세 이상 | 지방간, 담석증, 간 질환 가족력 있을 경우 |
갑상선 초음파 및 기능 검사 | 30세 이상 | 여성, 갑상선질환 가족력 있는 경우 특히 중요 |
폐 CT (저선량) | 50세 이상 | 흡연자라면 45세부터 권장 |
심장 CT (석회회 검사) | 45세 이상 | 고혈압, 고지혈증, 당뇨병이 있는 경우 조기 검사 |
위내시경, 헬리코박터 검사 | 40세 이상 | 가족 중 위암 병력 있는 경우 35세부터 고려 |
대장 내시경 | 50세 이상 | 가족력 있을 경우 40세부터 시작 권장 |
뇌 MRI/MRA | 50세 이상 | 두통, 어지럼증, 뇌졸중 가족력 있는 경우 조기 검사 |
혈관탄성도 검사 (동맥경화) | 40세 이상 | 혈관 건강 평가, 심혈관 위험군에서 유용 |
■ 검진은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?
20대부터는 기본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받는 습관을 들이고
30대에는 복부, 갑상선 초음파 등 추가 검사도 고려하며
40대 이후에는 심혈관, 대장, 폐 등 주요 장기에 대한 검사를 강화해야 합니다.
50대부터는 암 검진을 포함해 전반적인 전신 검진이 매우 중요합니다.
정기적인 건강검진은 단순히 병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, 건강한 삶을 이어가기 위한 가장 확실한 예방책입니다.
너무 바쁘다고 미루지 마시고, 나를 위해 하루쯤 시간을 내어 꼭 필요한 검진을 받아보세요.
반응형
댓글